혹시나 해서 필요하신 분들을 위해서 무료 온라인 프록시를 소개합니다.
중국에서 인터넷을 하다보면 다음 블로그, 티스토리 블로그, facebook, twitter 등을 접속할 수 없는데, 아래 무료 온라인 프록시를 사용하시면 자유롭게 위의 각 사이트를 접속할 수 있습니다.
무료 온라인 프록시 kproxy- https://server13.kproxy.com/
사이트 접속 후 원하시는 사이트 주소 입력함, 그리고 Surf클릭!
사이트 위에 광고가 있지만 무료인만큼 이것은 감안해야 하지 않을가요?
중국에 출장을 오셨거나 혹은 중국에서 생활하시는 분들한테 도움이 되였으면 좋겠습니다.
제가 올린 글
네이버, 다음에서 "중국"을 검색해보니에서 다음과 네이버에서 "중국"을 검색해서 나온 결과 중 중국 정부 공식 사이트는
http://www.govonline.cn/ 가 아니고
www.gov.cn 이라고 지적했는데, 방금 보니 네이버에서는 벌써 수정을 했네요.
역시 발빠른 네이버!
제가 글을 쓰고 있는 지금까지 다음에서 "중국"을 검색하면 중국 정부 공식 사이트가 여전히
http://www.govonline.cn 로 되어 있습니다.
점심에 보니..다음에서도 수정이 되였네요..^^
Channy님의 글 Daum 검색의 '스마트'한 변화들을 보고, 다음과 네이버에서 “중국"을 검색해보니…
일단 다음에서 “중국"을 검색해보면
바로 가기에 중국 정부라는 사이트 http://www.govonline.cn/ 가 보이는데, 이는 중국 정부 사이트가 아닌 주민번호를 확인하는 사이트일뿐이고..
네이버에서 “중국"이라고 검색해보니
일단 중국 국기, 현지 시간, 소개 등등이 있는데, 중국 전자정부 사이트 역시 www.govonline.cn 으로 되어 있습니다.
사실, 중국 정부 공식 사이트는 http://www.gov.cn/ 입니다.
그나저나, 네이버가 검색분야에서 1위를 하고 있는것이 다 이유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오랜만에 파이어폭스 플러그인을 소개합니다. 파이어폭스에서 사용 되는 네이버 및 다음 스타일의 파이어폭스 테마입니다.
네이버 테마
다운로드 주소:
https://addons.mozilla.org/en-US/firefox/addon/9125
다음 테마
다운로드 주소:
https://addons.mozilla.org/en-US/firefox/addon/10288
저는 현재 다음 테마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나중에 네이버 스타일 테마도 사용해봐야겠어요.
제가 시대에 뒤떨어졌는지 얼마전이야 비로소
다음 위젯뱅크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바로 제 블로그에 설치해놓았는데, 쓸만한 위젯들이 많더군요..
그럼 다음 위젯뱅크란?
달력, 날씨와 같은 간단한 정보위젯부터 동영상, 게임 등 다양한 위젯을
모아보고 카페, 블로그 등 내 공간으로 위젯을 쉽게 퍼갈 수 있는 서비스 입니다.
다음 위젯뱅크 사이트:
http://widgetbank.daum.net/
설치 방법은 아주 간단한테, 다음 블로그,티스토리 지어 네이버 블로그에까지 설치가 가능하며 html소스를 복사하면 기타 사이트나 블로그에 모두 설치 가능합니다.
제 블로그에도 위젯 몇개를 달아놓았습니다..
제가 지난번에 블로그에 상하이 동방명주탑이라는 사진을 올린 후 동방명주를 검색해서 제 블로그에 방문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유입경로를 찾아보았더니 네이버나 다음을 통해서 방문 오는 분들이 있었습니다.
다음과 네이버의 사전에서도 동방명주라는 소개가 있는데, 모두 정확한 내용은 아니었습니다.
예를 들면 다음에서는 아래처럼 기록

네이버에서는 아래처럼 기록
모두 아시아에서는 제일 높은 건물이라고 했는데, 이는 옛날의 수치인거라서 정확하지는 않습니다. 아시다 싶이 동방명주탑 후에 건축된 Jinmao Tower이나 세계금융중심센터의 높이가 모두 동방명주탑보다 높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네이버사전에는 이의제기라는것이 있는데, 다음에는 이의제기라는 메뉴가 없네요.
만약 네이버나 다음 검색을 통해서 동방명주를 검색했는데 두 사이트의 사전내용을 보았다면 정확하지 않은 내용을 기억한다는 말이겠죠.
네이버든 다음이든 인터넷 사전인만큼 이렇게 정확하지 않은 내용들이 쉽게 빨리 수정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어떤 곳이든지 방문하기 좋아합니다. 지난번에 북경 가서
싸이월드 차이나 사무실도 방문하고, 작년에
다음 중국 법인 사무실도 방문 했었습니다.
전에도 다음 글로벌 미디어 센터에 관한 사진들을 보았지만, 방금
MLBspecial.net의
다음 글로벌 미디어 센터에 관한 사진들을 보고 한번 방문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드네요.
물론 전제는 제가 나중에 기회가 생겨서 제주도까지 가야만, 방문할 가능성이 있어보이지만~ 다음과는 인연이 좀 있으니(아마 제 생각뿐 ㅋㅋ) 언젠가는..기회가 오겠죠~
작년 9월 쯤에
다음 중국 법인 방문기라는 글을 올린적이 있습니다.며칠전에 블로깅 하다가, 뉴스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바로 다음 중국 법인이 중국내에서 운영하는 올블로그 중국판이 판매를 하고 있는것이였습니다.(공식
365bloglink 블로그 참고)
Canon | Canon EOS 400D DIGITAL | Normal program | Partial | 1/60sec | F/4.0 | 0.00 EV | 35.0mm | ISO-400 | Flash fired, compulsory flash mode, red-eye reduction mode | 2007:09:06 17:24:17
2007년1월31일 오전 9시에
오픈 해서 1년 넘게 운영해오다가, 현재는 판매 상태 이네요.많이 아쉽습니다. 블로그 메타 라는 서비스를 참 좋아하는 저로서는 ,아쉽기만 합니다..
다음이 다음번에 중국에 선보일 서비스는 꼭 성공하길 기원하겠습니다.
다음에서 무료 폰트-다음 폰트를 내놓았습니다..완전 무료입니다..
다음 폰트 소개 페이지
http://fontevent.daum.net/
이벤트도 진행중이라고 하네요..1등은 맥북...
365bloglink,
cyworld,
Daum,
Naver,
Review,
네이버,
다음,
다음네이버,
다음싸이월드,
다음중국,
리뷰,
싸이월드
중국에 이미 네이버, 다음, 싸이월드가 진출한 사실을 이미 다 알고 있을거라고 믿습니다. 요즘
중국 대지진 후 19일부터 21일 사흘은 애도의 뜻을 표시하는 날이라서 거의 모든 온라인 게임업체에서 운영을 멈추고, 거의 모든 웹사이트는 모두
검은색으로 웹 색을 바꿔서 애도의 뜻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싸이월드 중국(www.cyworld.com.cn)에서는 전에 진행하고 있던 이벤트를 정지하고 22일부터 오픈 하기로 하였으며 웹 사이트 색갈도 블랙으로 표시하면서 애도의 뜻을 표시를 하고 있습니다. 싸이월드 스킨도 아래처럼 제공하고 있구요..

그리고 지진 피해를 위한 기부 정보도 싸이월드 메인 사이트에 올려놓고...
하지만...
다음 중국에서 운영하고 있는
365bloglink는 변한게 없네요..
사이트는 원래 색상 그대로..이제보니 365bloglink 이 사이트는 IE에서만 웹 색상이 블랙으로 변하는군요...파이어폭스에서는 원래 색상 그래도..

중국 적십자를 통한 기부 방법을 링크 걸어놓은것도 없고..오히려 다음 한국에서는 진행하고 있는 기부 활동을 벌리고 있는데, 중국 본지에 진출한 다음 중국은 아무런 특별한 반응도 보이지 않고...
그럼 네이버 중국에서 선보인 웹사이트
nciku는 단 사진 한장만으로 애도를 표시하고..

역시 기부 방법이든가 아무런 것도 없구요...이벤트는 아직도 왕창 벌이고 있는가요..팝업창으로 뜨는 아래 광고..

그럼 nciku의 경쟁회사인 iciba사이트를 볼가요?

다시 한번 더 본지화가 무엇인지를 생각하게 됩니다. 외국의 기업들이 모두 중국내에서 인터넷 사업이 힘들다고 하죠..사실 다 원인이 있습니다. 중국에서 사업을 할려면 중국의 분위기에 맞춰서..도울수 있는것은 도우고..중국이 아파하면 같이 아파하고..그런 기업 정신이 있어야 하지 않을가 싶습니다..
특히 블로그 위주로 사이트 운영중인
365blog을 보면서 이런것에 신경을 크게 쓰지 않는거 보니..참 무슨 생각을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baidu,
cyworld,
cyworld China,
Daum,
Daum China,
다음,
다음 중국,
다음 차이나,
바이두,
싸이월드,
싸이월드 중국,
중국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현재
다음,
싸이월드,
네이버 모두 중국에 이미 진출한 상태입니다. 지난번에는 네이버의
중영 사전 서비스를 간단하게 리뷰했었고, 아주 오래전에 다음이 중국에서 내놓은 올블로그 형태의 메타 블로그 사이트인
365bloglink도 소개했었습니다.
전에 우연히 중국내에서 최대 시장 점유율을 자랑하고 있는 바이두(
Baidu)에 '블로그'라는 것을
검색하니 싸이월드 중국, 다음 중국이 선보이고 있는 서비스 365bloglink의 홍보를 볼수 있었습니다.

우의 그림에서 볼수 있다 싶이, 검색엔진의 광고는 돈이 많이 내는 광고주의 광고가 해당 키워드를 검색했을 때 우선순위로 나타냅니다. 중국에서는
推广이라고 표시하는데, 우에서 볼수 있다싶이 바이두에서 블로그인 중국어 博客를 검색하면 제일 먼저 볼수 있는 광고는 싸이월드 중국 사이트의 주소
www.cyworld.com.cn 입니다. 그 다음 5번째 순위가 다음 중국이 내놓은 올블로그식 서비스인
www.365bloglink.com입니다.
현재 블로그가 유행인것을 감안해서 싸이월드가 패션적이고 개성적인 블로그 사이트-싸이월드 라는 뜻으로 광고를 하네요..싸이월드하고 블로그가 연관성이 있는가요? 365bloglink는 완전히 블로그와 상관이 있다고 하지만.
광고를 내는 만큼 효과를 보았으면 좋겠네요..
반면, 구글 중국의 사이트인 www.google.cn에서 블로그(博客)라는 키워드를 검색해보면 아시겠지만, 광고를 낸 회사는 하나도 없네요. 이것이 바로 1위의 힘이겠습니다.
다른 블로그에서 다음이 메인 페이지 변경을 했다는 소식을 보았습니다. 다음 첫페이지 보니 아니나 다를까 깔끔하게 메인 페이지 변경을 했더군요....
사실...다음에 대해서는 처음 인터넷 접속을 한 후부터 쭉 사용을 했었기에 남다른 애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메인 페이지 변경을 보면 성공적인 것 같습니다. 일단은 요즘 다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중 인기를 끌고 있는 티스토리,UCC등 서비스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새롭게 만들었습니다..
일단 전반적인 화면은 아래와 같습니다.
화면이 많이 깔끔하죠?
그리고 달라진 점을 본다면..다음측에서는 이렇게 설명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다음 측에서 티스토리를 인수한후부터 많은 방면에서 노력하는 모습이 보입니다. 제일 간단한 예를 들면 바로 아래 처럼..
쉽게 다음 검색을 이용하는 서비스를 제공한 것입니다. 현재 네이버가 1위를 독점하는 가운데, 다음도 검색쪽으로 많은 신경을 쓰고 있는듯 하네요..
어쨌든 항상 무엇인가를 시도하는 모습이 보기 좋습니다..
앞으로 더욱더 좋은 발전이 있기를 기원합니다.~~
다음측의 공식 설명은 아래 링크 참조하세요
http://promotion.daum.net/desc.html
며칠전에 잼난 메일 하나를 받았습니다. 바로 한메일에서 보내온 것인데...
제목은
블로거들이 선택한 메일, <한메일 Express>를 체험 해보세요! 였습니다. 전부터 이미 한메일 익스프레스 계정을 사용하고 있지만 도저히 이전의 한메일과 업그레이된 것을 찾아볼 수 없는거 같습니다. 비록 화면이 개변되고 여러가지 달라진 점이 있겠지만..개익적으로는 메일이 메일 받고 보내는것에 중요하겠지만 스펨처리 기능도 우수해야 하지 않을가 생각합니다. 지난번에도 한메일 쓰지 않는 이유~ 라는 글을 적었는데 현재도 오랜만에 한메일 계정에 로그인 하면 화면은 역시 스펨메일로 가득 찬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스펨 처리기능도 분명히 설정해놓았는데..
과연 이런 메일 서비스를 블로거들이 선택한 메일이라고 할 수 있을가요?
전에는 한메일이 네이버보다 메일에서 앞서가더니 현재는 별로 앞서가는 부분이 없는것 같네요. 최소한 네이버 메일은 용량이 1G되는데..한메일 익스프레스는 아직도 100MB이네요..
한메일...언제쯤 마음에 들가요?
지난번에
다음 고객센터에 문의한적이 있는데 아직 소식 없네요..12월5일날 문의사항이 접수되였다고 확인메일까지 왔는데...한주일이 지난 지금도 아무런 소식이 없으니...답답하기만..
다음 측에서 문의량이 많아서 답변이 늦다고 봐야 할가요 아님 자체 서비스의 속도에 의심을 가져야 할가요...
ㅠㅠ
빨리 답변을 해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저의 기억으로는 이전에
다음 사이트를 접속할때 다음 닷 컴(
www.daum.com)을 통해서도 접속이 가능했습니다. 하지만 요즘 들어
www.daum.com 을 통해서 사이트를 접속해보니 이상한 사이트가 나타납니다.
인터넷 주소창에
www.daum.com 을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혹시 다음에서 다음 닷 컴(daum.com)을 포기한 것일가요?
원래는 정상적으로 아래 처럼 나타나야 할텐데...
인터넷 주소창에 다음 닷 넷
www.daum.net 을 입력하면
아시다 싶이 도메인은 한개 기업을 상징 할 수 있고 그 기업의 브랜드를 의미합니다. 다음이 아무리 네트웍서비스를 위주로 한다는 신념이 있는 회사지만 그동안 사용해왔던 daum.com을 버리다니 너무나 아쉽네요.
.com의 뜻은 기업의 사이트라는 것을 의미하고 .net은 네트워크 제공하는 사이트 라는 뜻이기도 하지만..다음에서 원래 소유했던 다음 닷 컴과 다음 닷 넷을 모두 소유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을텐데..더구나 도메인 하나가 비싸지도 않은데..
적지 않은 사람들이 당연이 다음 닷 컴이라는 도메인이 다음회사의 소유라고 생각을 할텐데...
정말 다음에서 포기한 도메인일가요?
2007년12월6일 14:25분 Update
많은 분들이 다음닷컴이 메일로 사용한 적이 없으시다고 생각하는데..저도 분명히 사용했던 기억이 있구요..그리고 구글에서도 검색하니 나오더라구요..다른 분들도 사용한적이 있구요..
구글 검색창에 daum.com 이라고 검색하면 이런 내용도 나옵니다.